창신동23번지는 지난해12월28일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21곳 중 1개구역으로 선정
주택 재개발 후보지 권리산정기준일은
지난해 공모일인 9월 23일이며,
이후 2023년까지 선정되는 후보지의
권리산정기준일은 2022년1월28일로 지정되어
서울시는 빌라신축지분쪼개기를 원천봉쇄하였습니다.
이번 21곳 후보지는1월2일부터 2023년1월1일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어
주거지역 대지18㎡,(5.4평)초과면적에 대하여는
2년이상 실거주가 가능하여야 매매할 수 있게 되었네요.
허가신청은 관할구청에 신청서, 토지이용계획서,
자금조달계획서 등을 제출하면15일 이내에
검토하여 허가 또는 불허가 통지를 하게 되며,
만약 기간 내에 허가없이 계약체결 및 부정한방법으로
허가를 받을 경우, 거래시점 공시가의 30%범위 이내에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창신23번지 일대 위치도
창신동23번지 일대 주택 재개발지 후보지는
2007년 창신11 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되었으나,
반대 찬성율이 50%가 넘으면서
고(故)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하여 2013년10월
뉴타운해제 1호구역으로 해제되었고,
2014년5월 도시재생선도지역고시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창신동23번지 일대 재개발후보지는
제2종일반주거지역 7층이하, 위탁고도54-236m,
정비구역면적41,272㎡부지에 토지등소유자 약 320명
개인소유의 토지는23,718㎡(56.8%),
국·도·시유지11,891㎡,(28.5%)는
다른 구역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동의율74%로 조사되었습니다.
건축개요 및 공급세대수
창신동 구역 내 창신아파트는
기획재정부소유토지면적 3,274.7㎡(8%)로
토지등소유자 61세대가 점유하고 있고,
2020년전용면적42.15㎡,
공동주택가격1억2700만원의200%인
2억55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건물만 소유하여도 입주권을 받을 수 있으나,
도시정비사업 구역 내에 점유하고 있는 국·공유지는
개인이나 단체 또는 조합에서 인근 단독주택대지
평당 시세(10년불하)로 매수가능합니다.
종전감정평가 조합원
주택 재개발 입안 시, 개발 가능용적률 산정식은
허용 용적률 임대주택 설치 용적률 인센티브 및
공공시설로 제공한 면적/공공시설 부지 제공한 후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법적상한용적률로
인센티브가 주어지고 있습니다.
추정사업비
공공시설(기부체납,기반시설)로 제공한면적 중
순부담률은 정비구역 내 신설되는 기반시설과
건축물 환산 부지면적을 더한 값에 신설되는 기반시설
내 기존 국·공유지와 용도폐지되는 기반시설를 뺀 값이
순부담비율로 동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주택재개발보유
데이터(700개)10%내외로 도출되고,
종후자산평가액 분양가
새로 설치한 기반시설의 설치비용 범위 내에서
용도폐지되는 국·공유지는 무상양도 되며,
나머지 용도폐지되는 국·공유지는
인근 단독주택대지평당 거래되는 시세의 75%안팎으로
조합측에서 유상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창신동23번지 일대 정비사업구역은
정비구역면적 41,729㎡ 부지에
토지등소유자320명이 기반시설15%, 6,259㎡를
기부체납하고 순부담율10%
대지면적35,470㎡부지에 건축면적7094㎡,
용적률248.9%적용가능합니다.
사업분석 비례율
지하44,142㎡ 철큰콘크리트구조에
지하2층부터 지상25층 20개동, 임대비율20%,
198세대포함 총 989세대를 건립할 계획이고,
향후 서울시 신속통합기획으로
정비구역이 지정되면 오차범위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진위 측은 창신아파트와 접하여있는 경찰서 부지를
매입하여 구역 면적을 넓혀,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계획하고 있는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종로구 사직동23번지 추정분담금
노후도는 주거환경정비조례의 기준에 따르며,
창신동 23 일대는 서울특별시 도시및주거환경정비 조례
제1장 제4조에 의거합니다.
아래 이미지인 정략적 평가지표 총점 등은
부동산플래닛 및 건축물대장열람하여 도출되었습니다.
정략적 평가지표 총점
노후 불량 건축물이란
결함 또는 낡아 불량한 주거환경을 가지고 있거나,
새로운 건축물을 짓는 비용보다 이후의 가치가 높아지는
경우를 말하며, ‘노후’의 기준은 행정상 대체로 20년을
그 기준으로 삼으며,
서울은 서울특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제4조
노후·불량건축물에 따릅니다.
법적요건 검토결과
공동주택이란
「건축법」에서 복도 계단과 같은 설비의 일부나 전체를
각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컬으며,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 세대가 독립된 주거공간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는 구조의 주택을 말합니다.
노후도 충족 연수는 30년, 현재 찾아보기 힘들지만
철근콘크리트가 아닌 벽돌조는 20년입니다.
공동주택 이외의 건축물은|
다가구, 단독주택, 근린시설을 말하며
단독주택 철근콘크리트 포함 노후도 20년,
다가구 및 제1,2종근린주택은
30년을 기준으로 책정합니다.
감점 현황
신속통합구역으로 이번에 선정된
종로구 창신동 23구역(창신3동)의 과거3년 시세추이를
공시지가 또는 공동주택가격 대비 거래가격 비율로
살펴보겠습니다.
신속통합기획 가점
창신동23번지 일대 접도율
이 일대의 다세대주택은 과거 3년 180% 수준이었다가
현재 300%를 웃도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은 200% 수준이었다가
2020년에는 최고 330%로 약 1.6배의 상승을
나타내고 있으며, 2021년에 거래된 이력은 없습니다.
창신아파트는 170% 수준이었다가 2020년에는
최고 200%로 약 1.17배의 상승을 나타내며,
2021년에 한건의 거래는 가족간 거래로 추정됩니다.
창신동23구역 일대 단독주택 실거래가
부동산 플래닛 최근거래가
창신동23구역 외 인근의 시세추이는
다세대 주택은 과거 160% 수준이었다가
현재 370%로 최고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은 최근 1년 사이에 117% 이었다가
현재 416%까지 상승된 상태입니다.
인근 아파트는 2020년도와 큰 차이없이
170%정도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문파크뷰자이는
총 1,186세대의 규모로 지상 최고 20층 높이(17개동)
(주)지에스건설이 시공사를 맡아 2017.01월에
입주한 6년차 단지입니다.
전용 84타입 1년단위의 실거래가 추이를 보면
2021년 09월 13억원
2020년 09월 11억2천만원
2019년 10월 9억원 으로 거래되었고,
2021년 08월 14억원이 최고가로 기록되었습니다.
e편한세상보문은
총 440세대의 규모로 지상 최고 15층 높이(7개동)으로
(주)대림건설이 시공사를 맡아 2013.12월에 입주한
10년차 단지입니다.
전용 84타입(공급 34평)의 실거래가 추이를 보면
2021년 09월 10억원
2020년 09월 9억5천300만원
2019년 10월 7억9천200만원으로 거래되었습니다.
2021년 09월 10억9천만원이 최고 높은 금액입니다.
첫 번째 호재인 GTX-B노선은,
인천시 송도~남양주시 마석구간으로 연결되며
대한민국 국토를 좌우로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송도역에서 서울역까지의 시간이
현재 80분에서 30분 안쪽으로
대폭 줄어들기에 효과는 극대화될 것입니다.
두번째 호재는 업무지구와의 접근성입니다.
영등포, 여의도, 노량진 업무지구로는
1시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가장 규모가 큰 업무지구인 강남,서초구까지
40분정도로 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로구가 가지는 입지의 힘은 상당합니다.
종로구 창신동23번지에 대한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띠띠]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대연3구역 분양임박, 시세차익은 얼마까지?! (0) | 2022.01.22 |
---|---|
인천 도화4구역 재개발 일정, 분양가 및 시세차익까지!! (0) | 2022.01.19 |
종로구 숭인56번지 재개발후보지 예상 시세 및 투자가치 분석 (0) | 2022.01.19 |
용산 청파2구역 주택재개발 [신속통합기획] 시세추이_투자가치 분석 (0) | 2022.01.19 |
한남3구역 '한남디에치더로얄' 재개발 일정, 분양가, 시세차익은 얼마까지?! (1) | 2022.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