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통합기획
용산구 청파동1가 청파2구역 일대로
선정시 45%의 동의율과 구역 선정 발표 후,
현지 부동산은 문의 및 상담이 폭주중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21년 4월부터 추진위원장이 활동중으로
구역 내 상가가 거의 없으며 비대위 움직임은 없고
매물이 잠긴 상태로 조사되었습니다.
용산구 청파2구역 공고되어 있는
정비구역면적83,788㎡로
제1종일반주거지역 약47,000㎡,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이하) 약35,239㎡
제3종일반주거지역 약1,549㎡로 조사되었고,
대공방어협조구역77-257m,
청파2구역 평균해발고도는 65m로
제1종일반주거지역 47,000㎡에 대해서는
종상향이 필수조건이 되어야 할것이며,
종상향기부채납15%충족을 위해서는
현금,기반시설 등이 필요합니다.
용산구 청파동1가 토지이용계획
용산구 청파동1가 청파2구역은
정비구역면적83,788㎡에 종샹향에 필요한
기반시설15%, 국,공유지등 별도로하고,
평균기반시설15%,12,568㎡에 용적률249%가
된다는 가정하에 지하2층부터 지상25층, 20개동,
총1994세대로 건립이 가능합니다.
청파2구역 토지등소유자수 1505명으로
1994세대건립을 위해서는, 소형임대주택20%,
399세대 필요합니다.
청파2구역 분양가상한제 적용되어
일반평균분양가 평당평균3200만원으로 추정하였고,
조합원평균분양가는
일반분양가의80%로 책정하였습니다.
토지등소유자가 1505명으로 임대세대수339세대를
제외하면 일반분양아파트세대수는 90명입니다.
일반분양세대수90명으로 일반분양수익이
8백2십억4400만원입니다.
아래 이미지 사업성 비례율100%가 되기 위해서는
종전감정평가금액이
4천3백2십억779만원으로 감평되어야하고,
청파2구역 내
총 토지공시가는 3천5백7십억669만원이며,
총 토지공시가의 121%인
4천3백2십억779만원으로 책정하여
비례율100%가 되었습니다.
종전감정평가 금액이 높아지면 비례율하락,
(토지공시가 상승은 비례율하락으로 사업성저하)
건물면적비용은
종전감정평가금액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사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공고문의
구역도를 토대로 부동산플래닛 및 건축물대장 열람하여
산출한 데이터입니다.
주택재개발후보지 용산 청파2구역은
청파동1가89-18번지(청파로71나길23-4)일대에 위치
정량적평가 66.1점과 구역 내 건물동수 481동 중
10년이하 신축18동으로 추가 가점5점으로
도합71.11점으로 용산구 후보지에 선정되었습니다.
용산청파2구역 정량적 평가지표 총점
최근 주택재개발을 추진중인 구역에 대하여
노후도동수와 노후도연면적 비율의 차이가
약 12% 정도 벌어지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구역 중 연면적 기준 미달되는구역은 3곳으로
과소필지,접도율,호수밀도 중 다른 하나가 충족되어
재개발 구역 지정절차 진행중에 있으며 청파2구역도
이와같은 양상을 보입니다.
용산구 청파동 1가 청파2구역은
선택요건중 과소필지와 호수밀도 2개요건에서
만점을 획득하며 총점의 50%를 차지했습니다.
주택재개발 구역지정 법적요건 검토결과
청파2구역 내 과소필지(90㎡미만) 비율 약 57% 입니다.
호수밀도는 「도시및주거환경정비조례」를 제정하며
서울인근인 경기도와 인천시와 함께
당초 70호/h로 시작하였고,
대전광역시 및 부산광역시는
제정당시부터 50호/h 이상으로 운영중에 있어
권역별로 다르게 운영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서울시는 그 중간수치인 60호/h로
2006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용산롯데캐슬센터포레 호가
호수밀도란
건물이 얼마나 빽빽하게 밀집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정비구역 면적 1헥타르당 건축된 건축물 동수를 말하며,
1헥타르(㏊)는 10,000제곱미터(㎡)/ 3,025평이므로
청파 2구역의 면적을 헥타르로 변환후
건축물의 주택수를 나눈 백분율을 계산하였습니다.
참고로 존치되는 공원이나 학교,
사업이 완료된 공원 등은 면적에서 제외하며
대상지의 청파초와 배문중은 존치구역으로 구역지정
당시부터 배제된 면적이고
자연녹지지역 내 정비예정구역은 심의를 거쳐
호수밀도 규정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가점에대하여
접도율은 적정 기준인 폭(4m)를 유지하여
긴급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도로의 비율을 판단하는
지표인 주택접도율의 기준은 40%이하로
비율이 낮을수록 좋지않은 주거환경임을 뜻하며
구역 내 집들 중 좁은 골목길 안의 집들이 60% 이상을
차지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용산구 청파동1가 접도율
이 일대의 다세대 주택은
과거 3년 160% 수준이었다가
현재 250%를 웃도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은 170% 수준이었다가
2021년에는 최고 420%로
약 2.4배의 상승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역 내의 아파트는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국토부 실거래가 기준입니다.
청파2구역 단독주택 및 다세대 시세추이
청파2구역 외 인근의 시세추이도 알아보겠습니다.
다세대 주택은 과거 120% 수준이었다가
현재 350%로 최고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은 최근 3년 사이에 160% 이었다가
현재 최고 580%까지 상승된 상태입니다.
인근 아파트는 공동주택가격 상승으로 인해
큰 차이가 없는 상태입니다.
용산구 청파동1가 인근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 시세추이
서울역센트럴자이는
총 1,341세대의 규모로 지상 최고 25층 높이
(14개동)으로 (주)지에스건설이 시공사를 맡아
2017.08월에 입주한 6년차 단지입니다.
전용 84타입(공급 34평)의
1년단위의 실거래가 추이를 보면
2021년 10월 18억3천만원으로
최고높은 금액거래가이며,
2020년 11월 16억5천만원
2019년 12월 13억6천5백만원 으로 거래되었습니다.
서울역센트럴자이 시세추이
용산롯데캐슬센터포레는
총 478세대의 규모로 지상 최고 22층 높이
(7개동)으로 (주)롯데건설이 시공사를 맡아
2019.04월에 입주한 4년차 단지입니다.
전용 84타입(공급 34평)의
1년 사이의 실거래가 추이를 보면
2021년 08월 19억원으로 최고가로 거래되었으며,
2021년 06월 18억원
2021년 01월 16억4천만원으로 거래되었습니다.
용산롯데캐슬센터포레 시세추이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입니다.
용산구 한강대로 405(서울역) 일대
총 5개 권역을 아우르며
종합적으로 재생하는 내용이 사업의 핵심입니다.
예로부터 서울은 한양도성 관문에 위치한 관광거점으로
역사,경제,문화,공간적으로 잠재적인 힘이 있지만,
현재 저이용되고 있다 판단하여 새롭게 재생을 통해
발전시키고자 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서울역 개발로 깨끗해지고 공원으로
주변 야경을 찾는 사람이 많아짐에 따라
앞으로의 재생사업으로 인해
노후화된 서울역이 새롭게 탄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GTX-A,B 노선입니다.
GTX-A노선은 파주~삼성구간으로
현재 환기구 굴착 등 공사 진행중입니다.
2023년 개통 목표로 공정관리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GTX-B노선은 송도~마석구간으로 연결되며
대한민국 지도상에서 좌우로 연결하는 노선입니다.
현재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간 협의가 늦어짐에 따라
연기되어 올해 상반기에 발표가 날 예정이며,
착공예정일은 올해 말이나 23년 중으로 예상됩니다.
이 노선들이 개통되면 서울,수도권의 접근성이
훨씬 편해지는 것이기에 굉장히 기대되는 노선입니다.
광역급행열차노선도
청파2구역 추진위사무실
이상 청파2구역에 대한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띠띠]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구 창신동23번지 재개발 시세 및 투자가치 파악 [민간재개발 후보지] (0) | 2022.01.19 |
---|---|
종로구 숭인56번지 재개발후보지 예상 시세 및 투자가치 분석 (0) | 2022.01.19 |
한남3구역 '한남디에치더로얄' 재개발 일정, 분양가, 시세차익은 얼마까지?! (1) | 2022.01.11 |
DSR 이란, 정부 DRS에 따른 대응방향! [연봉별 대출 한도는?!] (0) | 2022.01.11 |
시흥 신천역 한라 비발디 시세차익은 얼마까지?! (0) | 2022.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