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 조건 [최대 6400만원 지원!]

by 스텔라게이트 2022. 3. 13.

청년도약계좌-신청조건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윤석열표-청년-금융지원-정책으로 나온 '청년도약계좌'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윤석열표-청년-금융지원-정책
윤석열표-청년-금융지원-정책

윤석열표-청년-금융지원-정책에 대해 알아봅시다. 

현재 윤석열 대통령이 청년들을 지원해 주겠다고 하는 정책이 위의 내용인데요 

지원 대상이 되는 조건이 까다롭지 않습니다.

일단 정책을 쉽게 얘기하자면 '10년만기 1억원 마련'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월 70만원 한도 내 저축을 하고 정부가 월 40만원씩 저축해주는 방식인데요 

소득이 있는 만 34세 미만 청년은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만 34세 청년이지만 소득이 4800만원 이상은 비과세나 소득공제 혜택을 줘 

모든 청년들에게 혜택을 주겠다는 정책이죠

또한 기존에 자격이 되셔서 청년희망적금을 드신분들 또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법도 고려 중이라고 하는데요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적립금액

그럼 청년도약계좌의 적립금액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청년도약계좌 적립금액에 대해 알아봅시다. 

월 70만원씩 10년 납입하면 1억원이 적립 가능한데요. 

10년간 돈이 묶는 것이라 걱정이 많으실 수 있지만 

위의 내용과 같이 생애최초 주택구입이나 다른 사유가 있다면 중도 인출이나 재가입이 허용이되는 

좋은 정책이 발표되었습니다. 

 

매달 정부의 지원금액은?!

소득대비-지원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득대비-지원금을 보시면 

  1. 2400만원 이하 : 정부 40만원 
  2. 2400만원 이상 3600만원 이하 : 정부 20만원
  3. 3600만원 초과 : 정부 10만원 
  4. 4800만원 초과 : 지원금은 없으나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신청방법

신청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공지가 나온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기존 청년희망적금과 마찬가지로 은행을 통해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이 공고 되면 다시 한번 포스팅하겠습니다. 

 

 

실현 가능한 정책일까? 

실현가능정책에 대한 의구심이 많이 커지고 있는데요. 

실현가능정책이 맞는지 한번 되돌아보자면

이전에 너무 많은 사람들의 청년희망적금 신청으로 은행의 이자부담이 1조원 정도 더 늘었다고 합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로 인해 그 손실은 더 커질 수 있는데요.

이 정책이 실현 가능한 것인가 의구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은행들의 대출이자는 상당히 높으나 저축에 대한 이자는 낮습니다.

그 만큼 은행들의 이득이 늘어나는데요 

많은 전문가 분들은 그런 갭에 의한 이득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여 

추가 몇 조원의 손실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다 라고 언급하셨는데요. 

 

우리나라 4대 금융의 순익을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 

4대금융-순익
4대금융-순익

4대금융 "KB·신한·우리·하나금융" 의 순익이 14.5조로 어마어마 합니다. (지난해 순익)

대출금리는 4~5% 허나 저축에 대한 기준금리는 1.25% 

'때돈을 벌고 있는 상황이란 것' 입니다. (금년도는 더 벌겠죠?)

정부에서 또한 해당 '돈놀이' 순익에 대해 가만히 보고만은 있지 않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현재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가 실현이 가능하다고 보시는 

전문가들이 많다는 것 입니다. 

10년 동안 번다면 100조 이상은 벌 것 같은데요 

그런 부당한 이득에 대한 비용으로 청년도약계좌에 2~3조 보내준다는것은 

크게 어려운일이 아닐 것 같습니다. 

 

일단 여기까지가 현 정부에서 공지 된 내용이며 

추가적인 내용은 발표되는 즉시 다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4800만원 이상 버시는 분들의 경우 지원금액 없이 

이자3.5%정도를 받고 비과세를 받는 것인데 

문제는 10년동안 이돈이 묶여 있어야 한다는 점 입니다. 

이정도면 크게 이득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10년동안이라면 미국ETF를 잘 공부해서 투자해 놓는것이 더 이득이란 생각도 들지만 

선택과 공부는 개인의 몫이기에 쉽게 판단 할 수는 없습니다.

일단 비과세과 얼마나 많이 될 것인지를 알아보고 돈을 묶어둘지 판단 해보셔야 하는데요.

비과세 이득을 얼마나 줄 것인지 자세한 내용이 공지 되면 

어떤것이 이득인지 다시한번 따져보고 포스팅하겠습니다.

 

이상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에 대한 리뷰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